본문 바로가기

📝 돈 되는 정보 모음

2025년 중위소득표 총정리!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신청 전 필독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가 발표되었습니다! 중위소득은 청년내일 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등 다양한 복지사업 신청 자격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특히 청년 지원 정책은 소득 구간에 따라 지원 여부가 갈리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중위소득표를 1~6인 가구 기준으로 정리하고, 100%, 120%, 150% 경계 구간을 설명하며, 청년내일 저축계좌의 소득 구간 중요성과 소득인정액, 세전소득의 차이를 알기 쉽게 설명할게요.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값으로, 통계청의 가구 경상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합산)을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이를 고시하며, 복지사업의 자격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2015년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인 6.42% 인상되었습니다.

중위소득은 평균 소득과 다릅니다. 고소득자의 영향으로 평균값이 왜곡될 수 있지만,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 중간값을 반영해 더 현실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청년도약계좌는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이 가입 가능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1~6인 가구)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아래 표는 1인 가구부터 6인 가구까지의 월 기준 중위소득(100%)과 120%, 150%, 250% 구간을 정리한 것입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월)        중위소득 120% (월)           중위소득 150% (월)             중위소득 250% (월)

 

1인 가구 2,392,013원 2,870,416원 3,588,020원 5,980,033원
2인 가구 3,976,156원 4,771,387원 5,964,234원 9,940,390원
3인 가구 5,109,871원 6,131,845원 7,664,807원 12,774,678원
4인 가구 6,097,773원 7,317,328원 9,146,660원 15,244,433원
5인 가구 7,013,058원 8,415,670원 10,519,587원 17,532,645원
6인 가구 7,877,090원 9,452,508원 11,815,635원 19,692,725원

참고: 7인 이상 가구는 6인 가구 기준에 923,623원을 추가해 계산합니다.

 

중위소득 100%, 120%, 150%, 250% 경계 구간 설명

중위소득의 백분율은 복지사업별 지원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입니다. 아래는 주요 구간별 활용 사례입니다:

  • 100%: 기초생활보장제도(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나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저소득층 지원 정책의 기준.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지원 가능.
  • 120%: 희귀질환 아동 의료비 지원(130%로 확대) 등 특정 복지사업에서 활용. 중위소득 120% 이하는 비교적 넓은 저소득층을 포괄.
  • 150%: LH 임대주택 일반공급 등 중저소득층을 위한 정책의 상한선.
  • 250%: 청년도약계좌의 가구 소득 기준. 2024년 3월 중위소득 180%에서 250%로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이 가입 가능. 예를 들어, 1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5,980,033원 이하면 가입 가능.

계산 예시: 4인 가구의 중위소득 250%는 6,097,773 × 2.5 = 15,244,433원입니다.  자신의 소득인정액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하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소득 구간이 중요한 이유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복지 프로그램으로, 만 15~39세 청년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가구에 속한 경우 가입 가능합니다. 이 계좌는 매월 10만~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1:1 매칭으로 지원금을 추가 적립해 주며, 3년 만기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소득 구간의 중요성

  • 자격 제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거나 100%를 초과하면 가입 불가.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경우 소득인정액이 1,196,007원(50%) 초과 ~ 2,392,013원(100%) 이하여야 함.
  • 정확한 계산 필요: 소득인정액은 세전소득과 다르며, 재산(자동차, 부동산, 금융자산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포함. 잘못 계산하면 자격 요건을 놓칠 수 있음.
  • 복지 연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다른 복지사업(예: 주거급여)과 중복 수급이 가능하므로, 소득 구간 확인은 전체 복지 혜택 설계에 필수.

신청 팁: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을 통해 자격 여부를 확인하세요.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 복지로


소득인정액 vs 세전소득: 헷갈리는 개념 정리

복지사업 신청 시 자주 혼동되는 소득인정액세전소득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소득인정액

  • 정의: 복지사업 자격 심사 시 사용하는 소득 지표로,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
  • 계산 방식:
    • 소득평가액 = 실제 소득(근로, 사업, 재산, 이전소득) - 가구특성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예: 30%, 65세 이상은 추가 공제)
    • 재산 소득환산액 = (재산 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일반재산 4.17%, 자동차 100%)
  • 특징: 재산(주택, 차량, 예금 등)을 소득으로 환산해 포함.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2,392,013원 이하면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충족.
  • 활용: 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복지사업의 소득 기준.

2. 세전소득

  • 정의: 세금을 납부하기 전의 총소득으로,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 소득을 포함.
  • 특징: 재산은 포함되지 않으며, 단순히 월급이나 사업 수익 등 현금 흐름을 반영.
  • 활용: 주로 청년도약계좌(개인 소득 7,500만 원 이하) 등 일부 정책에서 참고.

차이점 예시

  • 상황A: 1인 가구 청년 A, 월급 200만 원(세전), 예금 1,000만 원.
  • 세전소득: 200만 원.
  •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200만 원 - 근로소득공제 30% = 140만 원) + 재산 소득환산액(0원, 기본재산액 2000만원 공제로 재산 가액 0원) = 140만 원.
  • 결과: A의 소득인정액(140만 원)은 중위소득 100%(239.2만 원) 이하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충족.

  • 상황B :1인 가구 청년 B, 월급 330만 원(세전), 전세보증금 3,000만 원, 차량 2,500만 원.
  • 세전소득 : 380만 원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330 - 근로소득공제 30%, 99만 원 =  231만 원 + 재산 소득환산액 (3.48+8.69)=243.17만원
전세보증금 (일반재산): 1인 가구 일반재산 기본공제액 약 2,000만 원 공제 후 재산 = 3,000만 원 - 2,000만 원 = 1,000만 원

소득환산율: 연 4.17% (월 환산: 4.17% ÷ 12 ≈ 0.3475%)

소득환산액 = 1,000만 원 × 0.3475% = 약 3.48만 

자동차: 재산 가액: 2,500만 원

소득환산율: 자동차는 소득환산율 100% 적용, 공제금액 없음(복지 정책 기준)

소득환산액 = 2,500만 원 × 4.17% ÷ 12 = 약 8.69만 원

  • 결과: B의 소득인정액(2,431,700 원)은 중위소득 100%(239.2만 원) 이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안 됨.

 : 소득인정액은 복지로 모의계산기나 주민센터 상담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세요.


2025년 청년 지원 복지사업 신청 팁

  1. 중위소득표 확인: 위 표를 참고해 자신의 가구원 수와 소득인정액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
  2. 모의계산 활용: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LH청약플러스(apply.lh.or.kr)에서 소득인정액을 계산.
  3.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만 15~39세 청년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
  4. 청년도약계좌 가입: 중위소득 250% 이하, 개인 소득 7,500만 원 이하 청년은 은행 앱 또는 지점에서 가입.
  5. 상담 필수: 소득인정액 계산이 복잡할 경우, 주민센터나 복지 상담센터(129)에 문의.

결론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사업의 문을 여는 열쇠입니다. 특히 청년내일 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과 경제적 안정을 돕는 강력한 지원책입니다. 중위소득 100%, 120%, 150%, 250% 구간을 정확히 이해하고, 소득인정액과 세전소득의 차이를 구분해 자격 요건을 확인하세요. 복지로 모의계산기와 주민센터 상담을 활용하면 더욱 쉽게 지원 가능합니다!


관련글 링크

2025 대한민국 청년 자산 형성 지원 정책 총정리: 놓치면 손해! (feat.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2025 대한민국 청년 자산 형성 지원 정책 총정리: 놓치면 손해! (feat.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

#청년정책 #자산형성 #정부지원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희망저축계좌 #서울시청년통장 #재테크 #목돈마련안녕하세요,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대한민국의 청년 여러분! 2025년,

superassets.tistory.com

2025 소상공인 정책자금 완벽 가이드: 지원 조건, 신청 방법, 꿀팁까지!

 

2025 소상공인 정책자금 완벽 가이드: 지원 조건, 신청 방법, 꿀팁까지!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여러분! 😊 2025년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정책자금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경영 안정부터 재창업, 디지털 전환까지, 여러분의 사업을 든든히 지원할 프로그램을 소개

superassets.tistory.com

 

 


 

면책조항: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자격 여부는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 본 콘텐츠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