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대입구역 #청년안심주택 #더포디엄830 청년안심주택 공공지원민간임대 입주자 #추가모집공고가 22일 올라왔습니다.
2호선 건대입구까지 3분 컷인 #초역세권 입지입니다. 청약 신청은 4월 28~5월 1일입니다.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서울시가 제공하는 임대주택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빨리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다.
청년안심주택이란?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주거취약계층인 청년(19~39세)을 위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적: 저렴한 임대료로 청년의 주거 안정성을 지원.
- 유형: 역세권 청년주택, 신혼부부·청년주택 등 다양한 형태.
- 임대료: 시세보다 저렴, 보증금과 월세 부담 완화.
- 자격: 무주택 청년, 소득·자산 기준 충족 시 신청 가능.
1. 연령 및 대상
- 청년: 만 19세 이상 ~ 만 39세 이하.
- 일부 프로그램은 대학생, 취업 준비생, 신혼부부 등 특정 그룹을 우선순위로 고려할 수 있음.
2. 무주택 요건
- 신청자 및 세대 구성원이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 세대여야 함.
- 주택 소유 이력이 있더라도 신청 시점에 무주택 상태라면 가능.
- 단, 주거용 오피스텔,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 등은 주택 소유로 간주될 수 있으니 확인 필요.
3. 소득 기준
- 소득 기준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설정.
- 일반적으로 월평균 소득 120% 이하 또는 150% 이하 (공고별로 상이).
- 예: 2025년 기준, 1인 가구 월평균 소득 약 370만 원(120%) ~ 460만 원(150%) 내외.
- 소득 산정은 신청자 및 세대 구성원의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을 합산.
- 일부 공고는 소득 하한선(예: 50% 이상)을 요구할 수 있음.
4. 자산 기준
- 총 자산과 부동산 자산 기준 충족 필요.
- 총 자산: 약 3억 5,800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매년 조정).
- 부동산 자산: 약 2억 1,500만 원 이하.
- 자산에는 예금, 주식, 자동차, 부동산 등이 포함되며, 부채는 차감하지 않음.
5. 거주 요건
- 서울시 거주자 또는 서울 소재 직장 근무자 우선순위.
- 타 지역 거주자도 신청 가능하나, 서울시 거주자는 가점 부여될 수 있음.
- 입주 후 서울시 내 거주 의무가 있는 경우도 있음.
6. 기타 요건
- 신청자격 제한: 과거 공공임대주택 당첨 이력이 있거나, 현재 공공임대주택에 거주 중인 경우 신청 불가.
- 신혼부부 특화 주택: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결혼 예정 증명 가능 시).
- 우선순위 가점: 저소득층, 다자녀 가구, 취업 준비생, 장애인 등 특정 조건 충족 시 가점 부여.
이번에 올라온 새로운 공고! #건대입구역 #청년안심주택 #더포디엄830 청년안심주택 공공지원민간임대 입주자 #추가모집공고!!
#건대입구역 #청년안심주택 #더포디엄830 청년안심주택 공공지원민간임대 입주자 #추가모집공고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의 모집공고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단지개요]
■단지명 : 더포디엄830
■주택위치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8-8번지 외 3필지 (2, 7호선 건대입구역 6번 출구)
■공급호수 : 총 480세대 중 공공지원민간임대 42세대 (특별공급 1세대, 일반공급 41세대)
■사업주체 : ㈜엘앤케이이스테이트
■시공사 : 코오롱글로벌㈜, 코오롱이앤씨㈜
[공급일정]
■모집공고 : ‘25. 04. 22. (화)
■청약신청 : ‘25. 04. 28. (월) ~ '25. 05. 01. (목)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 ‘25. 05. 02. (금) 18:00
■서류 사본 제출(이메일) : ‘25. 05. 03. (토) ~ 05. 08. (목)
■계약체결 및 원본서류제출 : ‘25. 05. 11. (일) ~ 05. 14. (수)
■입주지정기간 : ‘25. 06. 05. (목) ~ 07. 04. (금)
'📝 돈 되는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LNG선박 수혜주 총정리: 지금 주목해야 할 종목은? (1) | 2025.04.25 |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조건, 신청 방법, 혜택 총정리 (0) | 2025.04.24 |
지금 50대라면 꼭 봐야 할 연금저축 ETF TOP 5 추천(국내) (0) | 2025.04.23 |
비트코인, 관세정책 충격에도 반등: 2025년 상승 요인 분석 (0) | 2025.04.23 |
테슬라(TSLA)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주요 내용과 전망 (0) | 2025.04.23 |